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임도연 (홍익대학교) 공순구 (홍익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발행연도
2021.11
수록면
89 - 93 (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interest in Metaverse is increasing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re-emergence of XR technology and its positive outlook for its economic potential and the desire for a new digital society and culture accelerated by the COVID-19 pandemic. It is being used to enhance industrial competitiveness by attracting audience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which are subject to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while strengthening interaction between exhibitions, performances, and audiences. The modern exhibition space accepts digital technology faster than any other cultural industry field,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taverse important role in expanding it to a smart space and a breakthrough exhibition method beyond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exhibition spa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ost effective toolkit for implementing space that conforms to the theory according to the results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Metaverse and the exhibition space implemented as Metavers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메타버스를 적용한 공간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