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재환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서지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취업진로학회 취업진로연구 취업진로연구 제12권 제3호
발행연도
2022.9
수록면
81 - 97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을 포함한 정보시스템의 발달로 우리 사회와 개인의 삶은 계속해서 빠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노동과 고용에도 큰 변화를 일으켰는데 그 변화 중 하나가 온라인 플랫폼 노동(Online Platform Labor)이다. 플랫폼 노동자들은 플랫폼 기업을 통해 일감을 찾아 다양한 형태로 고용된다. 지금까지의 노동 고용의 형태가 정기적 채용의 '인풋(Input)'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아웃풋(Output)' 우선의 유연한 방식으로 변환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미국, 영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온라인 플랫폼 노동이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0년 고용노동부가 실태 조사한 우리나라 온라인 플랫폼 노동종사자 규모는 약 179만 명에 달하고 전체 취업자의 7.4%에 해당된다. 이렇듯 온라인 플랫폼 노동이 노동 시장의 한 축을 차지하게 되면서, 온라인 플랫폼 노동에 구직하려는 사람들이 매우 늘어나고 있다. 왜냐하면, 온라인 노동 시장이 근로자들에게 여분의 수입을 주기도 하지만, 온라인 플랫폼 노동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유연성, 자율성 및 여러 직업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기회성도 이러한 구직의 증가를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노동 중 특별히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플랫폼 고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고용 참여자의 다양한 동기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에 적합한 고용 형태에 대한 고찰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근로자들이 특별히 이 직업군을 선택한 이유에 대한 고찰을 통해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분야 구직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인 Amazon Mechanical Turk(이하 MTurk)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2021년 8월부터 9월까지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실증분석도 실행하였지만, 크라우드소싱 노동자들의 온라인 플랫폼 경제 선택 이유 및 동기를 더욱 구체적으로 알고 싶어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온라인 플랫폼 참여자들은 비록 비정규직이지만 본인의 일을 확실한 일 혹은 업무로 받아들이고 있고 돈을 버는 것이 그들이 온라인 플랫폼 노동에 참여하는 가장 큰 이유라고 나타났다. 좋음(good)이라는 단어도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온라인 플랫폼 노동에 참여하는 것을 그들 스스로 매우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학문적으로는 자기결정이론과 온라인 플랫폼 경제 참여 동기를 연결시켜서 구제적으로 살펴보았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