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하는 산업 중 하나인 패션산업에서 지속가능한 패션과 환경오염 해결을 위한 여러 기관의 노력으로 친환경 패션이 보편화되고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패션과 관련하여 리폼, 리디자인, 리사이클링, 업사이클링 등을 콘텐츠로 다루는 유튜브 채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패션 산업에 기여하고 있으며, 그중 진즈는 재사용 또는 재활용될 때 그 가치가 상승하는 소재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패션 디자인의 확장성과 자원의 재활용, 에너지 절약 및 환경과 경제적인 효율성에 필요한 기반연구로서 진즈의 지속가능성 관련 패션 유튜브 콘텐츠 현황을 분석하였다. 문헌연구 및 인터넷 조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먼저 문헌연구 및 인터넷 조사에서는 유튜브 콘텐츠의 사회문화적 영향력, 지속가능한 패션의 개념 및 실천 유형, 국내 · 외 지속가능한 패션 실천 사례를 살펴본 다음, 실증연구에서는 총 665개의 유튜브 영상을 대상으로 진즈 패션 콘텐츠의 일반적 특징과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튜버 성별은 여성, 직업은 전문 크리에이터, 유튜브 채널별 영상은 1개-5개가 가장 많았다. 업로드 연도는 2020년, 재생시간은 5분 이상-10분 미만, 해시태그수는 없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조회수는 100만 이상, 구독자수는 10만 미만, 구독자 반응은 1만 미만, 댓글수는 100개 이상-500개 미만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화면구성 및 음향은 얼굴은 화면에 드러나지 않은 경우가, 음성은 없는 영상이, 음악과 자막은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 디자인 전환 단계는 Level 5가 가장 많았고, 최종 아이템은 의복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 팬츠가 많이 나타났다. 장식 기법은 1가지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장식 기법 종류는 아플리케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 유튜브 콘텐츠에 나타난 지속가능한 진즈 패션 현황을 분석한 연구로서, 지속 가능한 패션 디자인의 확장성과 실천 가능성을 높이고 자원의 재활용과 환경에 경제적인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패션 관련 콘텐츠를 위한 전략 및 다양화되는 패션 유튜브 콘테츠를 연구하는 분석틀로서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ly, in the fashion industry, which is one of the industries that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eco-friendly fashion is becoming common and spreading due to the efforts of various institutions attempting to create sustainable fashion and stop environmental pollution. In relation to sustainable fashion, YouTube channels that deal with reform, redesign, recycling, and upcycling as contents contribute to the fashion industry in various ways. For example, jeans are considered a material whose value increases when reused or recycl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fashion YouTube content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of jeans as a basic study necessary for sustainable fashion design scalability, resource recycling, energy saving, environment and economic efficiency. Literature research, internet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in parallel. First, in the literature study and internet research, the sociocultural influence of YouTube content, the concept and practice types of sustainable fashion, and exampl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stainable fashion practices were examined. Then, in the empirical study, 665 YouTube videos were analyz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stainable design of jeans fashion conten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Most of the YouTubers were female, and the most common occupation was professional creator. Most of the channels contained 1-5 videos. Most of the contents were uploaded in 2020, and the playback time was more than 5 minutes to less than 10 minutes. Most of the videos contained no hashtags, had more than 1 million views, fewer than 100,000 subscribers, fewer than 10,000 responses, while 100 to 500 comments were the most common. As for screen composition and sound, there were more cases in which the face was not revealed on the screen, the video contained no voice, and music and subtitles were present. Design conversion stage was the most common level 5, and the final items had the most clothes, especially pants. As for decoration techniques, one technique was most often used, and applique was the most commonly used form of decoration technique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sustainable jeans fashion in YouTube content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n analysis framework for researching strategies and diversified fashion YouTube content, increasing the scalability and practicability of sustainable fashion design, as well as recycling and th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