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생성문법학회 생성문법연구 생성문법연구 제31권 제1호
발행연도
2021.2
수록면
107 - 128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concerns structural and semantic-informa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merger(M)-type and the sprouting(S)-type of Korean sluicing-like constructions. It focuses on the relevance of an indefinite correlate in the preceding clause to the optionality of a postposition after the wh-phrase in the following clause. It is proposed that kukey ‘it’ is a D-pronoun in the M-type construction, while it is a variable in the S-type construction. Both function as a discourse linker, introducing an indefinite meaning or an incomplete discourse situation of the preceding clause to the subject topic position of the following clause. So the M-type construction constitutes a copular structure, while the S-type construction a truncated cleft structure. In respect of semantic-informational structure, the two types both convey specificational meaning, which is ver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subject-honorification data. The predicational behavior of the M-type construction and inversion impossibility of the S-type construction are also explained as phenomena expected from the different properties of the two types.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3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