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구형찬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종교문화비평 제40권 제40호
발행연도
2021.9
수록면
77 - 106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팬데믹 상황에서 방역수칙과 종교적 규범이 충돌하는 것을 종종 보게 된다. 이에종교인들의 이기심과 부도덕성을 비난하는 여론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에 낡은 질문이소환된다. “종교는 사람을 과연 더 도덕적이게 하는가?” 본고는 진화된 마음에 관한이해를 바탕으로 이 질문에 내재된 문제점들을 재검토한다. 구체적인 과제는 종교와도덕성의 관계를 논할 때 발생하는 몇 가지 개념적 혼란을 정리하고, 종교와 도덕의진화인지적 기반에 대한 선행연구의 관점을 비판적으로 발전시켜, 팬데믹 상황에서종종 발생하는 ‘종교적 도덕성’ 이슈를 분석하기 위해 도덕기반이론, 인지종교학 이론, 행동면역체계 등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는 가설적인 설명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덕기반이론(Moral Foundations Theory, MFT)에 따르면, 도덕 판단은 서로 다른 진화적 적응문제에 기초한 다섯 가지 심리기제들에 의해 발생한다. 인지종교학(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CSR) 이론의 ‘표준모델’은 우리가 ‘종교’라는 범주로 대상화하는 다양한 현상들은 인간종의 진화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적응들의 부수적인 효과라고 주장한다. 도덕기반이론과 인지종교학 이론은 도덕과 종교의 진화인지적 토대를 분석 가능한 복수의 하위 단위로 분해하여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행동면역체계는 감염이나 오염의 가능성이 있는 대상을 회피하게 해주는 일종의 경보장치이며, 그 효과는 감정의 영역에서 역겨움으로 나타나고 행동의 영역에서는 회피 행동으로 나타난다. 팬데믹 상황에서는 행동면역체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인종, 지역, 출신, 종교, 성적 지향 등에 대한 차별과 배제가 강화되기 쉽다. 본고는 위의 두 이론과 행동면역체계가 동시에 고려되는 종교적 도덕성의 설명모델을 구상해 보았다. 이 작업은 종교와 도덕의 구성요소들을 실증적인 연구가 축적돼온 과학적 분석의 단위로 적절히 세분화했다는 점에서 맥케이(McKay)와 화이트하우스(Whitehouse)의 연구를 발전적으로 계승한 측면이 있으며, 행동면역체계를 팬데믹상황의 인지생태학적 요인으로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이론적인 새로움이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3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