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일 근대 여성작가의 탄생과 정체성 연구
어문론집
2016 .06
중국 자이융밍(翟永明) 시의 ‘검은 밤의 의식’과 죽음 콤플렉스 ―연작시 “여인”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24 .09
한국 근대 여성문학의 탄생과 형성 ?근대 초기∼식민지기?
개념과 소통
2020 .01
21세기 한국의 중국 고전여성문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그리고 전망
중국문학
2022 .08
이중의 글쓰기와 비스듬히 읽기 - 김인숙의 『긴밤 짧게 다가온 아침』을 중심으로 -
우리문학연구
2023 .01
‘여성혐오’의 문학문화사(II)- 1898~1910년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2017 .01
1970년대 여성문학 ?여성전업작가의 등장과 다양한 글쓰기 주체의 성장?
개념과 소통
2020 .01
조선후기 여성생활사 자료의 수집 및 재구축 방안모색- 한문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17 .01
일제하 ‘신여성’ 담론의 정치적 의미 - 김동인 소설의 미소지니즘과 여성인물 형상화를 중심으로 -
돈암어문학
2020 .06
1950년대 ‘직업여성’ 담론을 통해 본 여성들의 일과 결혼 : 정비석의 『여성전선』, 『세기의 종』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017 .09
1930년대 후반 잡지 『여성(女性)』의 독자 글쓰기 연구 - 여성주체의 형성과 여성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1 .09
일본 근대여성문학 연구의 성과와 비전
일본연구
2018 .01
가족서사 문학에 나타난 가족갈등 - 부부갈등의 관점에서 -
동남어문논집
2016 .01
소설『82 년생 김지영』을 거울로 비춰 본 중국 ‘바링허우’ 여성의 삶과 문화적 재현
중국어문학논집
2020 .06
신여성과 패션 그리고 오스카 와일드의 미학론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8 .08
1960년대 여성시에 나타난 탈경계적 여성의식 연구 - 『한국여류문학전집』(1967)을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24 .08
19세기 중후반 서울 문단의 여성 인식 –조면호와 박영보의 경우를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2020 .01
18세기 한·중 여성의 정체성 접근과 생태의식 -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아시아문화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