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하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저널정보
한림과학원 개념과 소통 개념과 소통 제18호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169 - 210 (4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민족문화’를 둘러싼 개념투쟁이라는 시각에서 1970~1980년대 ‘민족문화’ 담론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민족주의의 문화 담론적 특징을 규명하려는 글이다. 근대민족주의가 태동한 이래 ‘민족문화’ 논의는 민족주의 담론의 중심에 위치해 있었다. 한국의 민족주의는 애초에 혈연적 민족주의가 아닌 문화적 민족주의로 출발하였으며, ‘국가’와 ‘민족’의 불일치가 가져온 모순은 ‘민족문화’ 담론에 대한 지속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민족문화’ 담론은 민족을 단일한 공동체로 통합·해방·번영시키기 위한 미래완료형 프로젝트로서, ‘민족문화’란 무엇인가 하는 정의내리기보다는 ‘민족문화’란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라는 전략적·실천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었다. 1970년대 ‘민족문화’ 담론이 민족문화육성론과 민족문화운동론으로 분화되는 과정에는 ‘민족문화’라는개념을 둘러싼 여러 개념, 곧 ‘전통문화’·‘민속문화’·‘민중문화’·‘대중문화’ 등의개념들 서로 간의 갈등과 쟁투가 있었다. 전자가 전통문화의 현대적 변용에 중점을 두었다면 후자는 민속문화의 공동체성 회복에 중점을 두고 각각의 논리를 전개하였으며, 양 진영은 모두 상업적 대중문화에는 비판적 태도를 취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1980년대 정권을 잡은 신군부는 앞선 시대보다 훨씬 문화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였고 대표적 저항 세력인 대학생층과 그들의 문화인 민속 문화 및 대중문화를 체제 내로 끌어들이기 위한 문화정책을 펼쳤다. 이에 맞선비판적 지식인과 대학생 및 문화운동 진영에서는 민중문화를 기치로 내걸고 이것이 지배층이 전유하려는 ‘전통문화’ 및 ‘민속문화’와 어떻게 다른지를 논증하는과정에서 민중문화 개념과 담론이 형성되었다. 1987년 6월항쟁과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전자는 ‘고급문화’의 대중화가, 후자는 ‘민중문화’의 대중화가 화두가 되었다. 이는 1990년대가 대중문화의 시대가 되리라는 것을 예고하는 것이었으며, 향후 민족주의가 ‘민족문화’라는 이념형 담론이 아닌 국민 정서로서 대중문화와 이를 생산·유통하는 문화산업의 외양을 띠고 전개되리라는 것을 예견하는것이기도 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