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서론
2. 도깨비의 뿔
3. 도깨비, 그 구체적 형상의 부재 혹은 자유로움
4. 도깨비와 야차(夜叉)
5. 도깨비 담론과 한국학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후기 ‘서울 도깨비 이야기’의 특징과 그 의미
구비문학연구
2022 .06
한국 ‘도깨비’ 주제 축제 활성화 방안
강원민속학
2021 .03
구비문학을 활용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과 현대적 전승 양상
韓國古典硏究
2018 .01
텔레비전 드라마 〈도깨비〉에 재현된 전통문화의 변용 양상 연구
인문콘텐츠
2018 .03
불교설화로 본 도깨비 어원 연구
우리말글
2015 .12
[당선작] 뿔, 뿔, 뿔
시조시학
2019 .03
지구가 뿔났다
월간에세이
2020 .12
사물 기원의 귀(鬼), 도깨비와 정괴(精怪)의 비교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23 .04
Modern Consumption Culture through the Lens of Dokkaebi Market: Disciplined Modernism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6 .08
[공모시] 둥근 뿔 외 2편
황해문화
2020 .09
도깨비 전설과 테크놀로지 : 박하익 장편동화 『도깨비폰을 개통하시겠습니까?』 창비 2018
창비어린이
2018 .06
[작품론] 뿔, 뿔, 뿔, 불, 불, 불, 별, 별, 별… - 이현정론
시조시학
2022 .09
[신작] 외뿔
시조시학
2022 .12
우리나라의 도깨비 도로-심리학적 설명과 활용 제안
탐라문화
2018 .01
뿔· 20 — 나팔
숙명문학
2020 .11
촛불의 긴장감을 쉬게 해준 드라마들 : 〈도깨비〉와 〈김과장〉
황해문화
2017 .06
도깨비 서사의 웹툰 수용과 변주
어문론집
2019 .12
한국의 동 · 서 해역을 가르는 생태문화의 결절점 : 영등과 도깨비 신앙의 인문지형
한국민속학
2023 .05
‘홀림’에 나타난 공포의 양가성 연구 -호랑이, 도깨비, 여우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1 .01
예이츠의 요정과 『삼국유사』의 도깨비 연구
한국 예이츠 저널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