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제218조 규정과 제출자 적격성
Ⅲ. 임의성 문제
Ⅳ. 임의제출에 따른 정보의 압수대상 및 범위
Ⅴ. 제3자가 피의자 소유 정보저장매체내의 정보를 일괄제출한 경우
Ⅵ. 압수방법과 참여권 문제
Ⅶ.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보저장매체의 임의제출과 참여권 - 대법원 2022. 1. 27. 선고 2021도11170 판결 -
법학연구
2023 .09
압수조서 미작성과 전자정보 임의제출의 범위 -대법원 2023. 6. 1. 선고 2020도2550 판결-
형사법의 신동향
2024 .03
휴대폰의 압수와 저장정보의 탐색
비교형사법연구
2020 .01
체포현장에서 임의제출한 휴대폰의 압수와 저장정보의 수집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2021 .09
형사절차에서 전자정보의 탐색 및 압수
비교형사법연구
2023 .01
임의제출물 압수에 있어서의 임의성 심사 및 적법요건 - 대상판결: 대법원 2019. 11. 14. 선고 2019도13290 판결
사법
2021 .01
형사소송법 제218조의 유류물 또는 임의제출물의 압수에 대한 소고
형사법의 신동향
2020 .01
임의제출된 전자정보의 증거능력
法學論文集
2022 .12
제3자의 전자정보저장매체 임의제출의 적법성 판단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22 .09
공소제기 후 강제수사와 임의제출물 압수의 허용범위
법학논총
2022 .09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절차에 관한 판례 연구 : 대법원 2015. 7. 16.자 2011모1839 전원합의체 결정을 중심으로
중앙법학
2017 .06
디지털정보의 원격지 압수·수색제도에 관한 고찰: 대법원 2017.11.29. 선고 2017도9747 판결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2022 .09
체포현장에서 피의자가 임의제출한 휴대전화기의 압수와 휴대전화기에 저장된 정보의 탐색,수집
경찰법연구
2021 .01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 절차상 당사자의 참여권 및 별건 관련성 없는 증거의 압수 요건 - 대법원 2015. 7. 16.자 2011모1839 전원합의체 결정 –
법조
2016 .01
현행범 체포시 핸드폰 압수·수색의 한계와 효율성 제고방안
경찰학논총
2018 .01
수사절차상 압수·수색규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비교형사법연구
2015 .01
디지털 증거 압수·수색과 참여권보장 - 피의자와 피압수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중심으로
형사법연구
2022 .12
전자정보에 대한 압수・수색의 적정성에 대한 연구
인문사회 21
2016 .01
제3자 소지·보관 정보증거의 압수·수색과 참여권자 문제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2024 .03
압수절차에서 참여권을 가진 자 - 판례의 동향과 비판 -
법학연구
2024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