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백승한 (부산대) 이재영 (홍익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大韓建築學會論文集 第39卷 第9號(通卷 第419號)
발행연도
2023.9
수록면
161 - 172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flagship stores, focusing on what is deemed the affective brandscape. These flagship stores stand apart from regular retail stores by emphasizing the experience economy as a pivotal factor. Instead of merely being landmarks, these stores introduce fresh ways of experiencing commerce, blurring the distinctions between local and global, original and symbolic, and authentic and artificial. This blending of elements often referred to as hybrid or hyphenated designs, serves as a means to convey brand identit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how flagship stores function and engage potential customers, it is essential to examine how companies combine diverse elements related to the physical and intangible aspects of a store, including its location, ambiance, and historical context. These hybrid commercial models prompt an exploration of how flagship stores are intricately woven together, creating combinations that are both distancing and emotionally impactful. Through case studies, includ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 2002 OMA-designed Prada Epicenter, this study also compares and analyzes four selected flagship stores of the globally popular cosmetic brand Aesop. This study aims to uncover how disparate elements are harmonized to create a branded world that extends both physically and conceptually beyond the store itself.

목차

Abstract
1. 서론
2. 플래그십 스토어의 용어 정의와 주요 사례
3. 정동적 브랜드스케이프로서의 플래그십 스토어: 이론적 배경
4. 정동적 브랜드스케이프로서의 플래그십 스토어: 사례 분석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3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