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김나현 (인하대학교) 정혜진 (인하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39권 제1호(통권 제71집)
발행연도
2019.4
수록면
49 - 52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Public space has changed with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the past, public space meant a space that satisfied "public ownership, public access, and public purpose", but not now. The Starfield Library or Apple Store, which we recognize as a public space, is clearly private, but these spaces function as contemporary public spaces. The atmosphere of the Apple store is different from theme parks or shopping malls, the other flagship stores. As a public space, the features of the Apple Store are; First, there are no obstacles(except for clear glass)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interior. Second, various activities(such as sale, lecture, seeing etc) are combined to feel the atmosphere of the plaza. Third, it expresses high-tech by using glass and aluminium, and it creates a comfortable and pleasant environment with wood.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애플스토어의 유형
4. 애플 스토어의 계획적 특성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