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류서 (동서대학교) 장주영 (동서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3권 제10호
발행연도
2023.10
수록면
188 - 201 (14page)
DOI
10.5392/JKCA.2023.23.10.188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에코뮤지엄 개념이 중국에 도입된 이후, 중국 소수민족의 지역 문화 유실과 경제 개발의 후퇴 등 현상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소수민족 지역을 위한 에코뮤지엄 관련 선행연구에서 알 수 있듯, 에코뮤지엄에 대한 명확한 평가 지표가 부족하다. 평가 지표의 수립은 에코뮤지엄이 지역 문화를 보호하는 능력을 표준화하며, 지도 및 향상시키는 데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지역의 에코뮤지엄에 대한 평가지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초기 연구를 기반으로 중국 소수민족 지역과 에코뮤지엄의 특성을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중복 및 부적합한 특성을 그룹화한 후 7개의 핵심 지표와 18개의 상세 지표를 도출하였다. 둘째, 평가 지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켄달(Kendall) 상관계수를 통해 조사의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객관적으로 도출된 평가 지표에는 지역성, 활동성, 다양성, 지속성, 개방성, 공유성, 자발성이 포함된다. 이러한 지표는 에코뮤지엄의 명확한 목표 및 계획 수립과 정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중국 소수민족 지역의 에코뮤지엄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선행 연구
IV. 델파이(Delphi) 조사
V.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