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 노멀 시대 관광은 지속가능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메타버스라는 가상의 공간은 현실을 뜨겁게달구고 있다. 뉴 노멀 시대 사회·경제·문화 등 모든 측면에서 메타버스는 빼놓을 수 없는 키워드가 되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관광’, ‘작은 관광’, ‘일상의 관광’ 등 새로운 시각이 반영되어 다양한 형태로등장한 관광은 메타버스와 함께 뉴 노멀 시대 하나의 관광 패러다임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관광에 대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메타버스 관광과 관련된 어떤 세부 주제들이 이슈가 되고 있으며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먼저 메타버스 관광 동향에 대한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메타버스 로드맵 담화에서 정의내린 ‘증강현실’, ‘라이프로깅’, ‘거울세계’, ‘가상세계’의 4개 범주의 정의를 준용하고 ‘메타버스’, ‘관광’, ‘여행’을 포함하여 키워드를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21년 1월 1일부터 2022년1월 31일까지로 약 1년간 기간을 설정하였고, 빅 데이터 통합 처리 솔루션인 TEXTOM 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은 텍스트 마이닝과 시맨틱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단순 빈도 분석, N-gram 분석, 워드 클라우드 및 에고네트워크 시각화, CONCOR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여행 및 관광 체험 이벤트 활성화’, ‘메타버스 공간 가상 활동’, ‘기술 기반 미래 관광 플랫폼’, ‘관광도시 콘텐츠 서비스’의 4개로 군집화 되었다. 이를 토대로 뉴 노멀 시대 메타버스 관광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이해하고 메타버스 관광산업 분야에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Sustainabili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tourism in the new normal era. And the virtual space of Metaverse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n reality. Metaverse has become an indispensable keyword in all aspects of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 the New Normal era. In particular, tourism is appearing in various forms by reflecting new perspectives such as ‘untact tourism’, ‘small tourism’, and ‘daily tourism’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along with Metaverse, it is shifting to the tourism paradigm of the New Normal er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specific topics related to Metaverse tourism are becoming issues and what characteristics they have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Metaverse tourism. First, in order to identify trends in Metaverse tourism, we apply the definitions of the four categories defined in the Metabus Roadmap Discourse: key words such as ‘augmented reality’, ‘life-logging’, ‘mirror world’, ‘virtual world’, ‘virtual world Metaverse’, ‘tourism’, and ‘travel’ were set.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set for about one year from January 1, 2021, to January 31, 2022, and the TEXTOM 6.0 program, a big data integrated processing solution, was used. The collected data analysis utilized text-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addition, simple frequency analysis, N-gram analysis, word cloud and ego-network visualization,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Finally, it was clustered into four categories: 'Activating Travel and Tourism Experience Events', 'Metaverse Space Virtual Activities', 'Technology-based Future Tourism Platform', and 'Tourist City Content Service'. Based on this, users' needs for Metaverse tourism in the New Normal era were understood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the Metaverse tourism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