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칼 맑스의 신체 유물론과 신유물론
철학∙사상∙문화
2024 .06
실천적 유물론에 대한 변증법적 단상: 물질과 정신의 이원론을 넘어
영어영문학연구
2021 .12
신유물론의 교육적 함의 탐색
인간·환경·미래
2023 .10
Two Types of Egress Based on Initiation: On The Pearl, “Flight,” and The Forgotten Village
영어권문화연구
2015 .01
퇴계학에 관한 북한의 선행연구 비판적 고찰 - 향후 퇴계학 관련 남북한 공동연구 가능성 탐색
율곡학연구
2022 .12
생기적 유물론으로 바라본 메타버스의 행위성
인문콘텐츠
2022 .04
심종문 湘西 문학세계가 지닌 생태여성주의의 가능성
중국문화연구
2016 .11
Man and Nature
인간연구
2017 .01
신물질론과 포스트-휴먼 기획 : 여성주의 물질론을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2017 .10
역사적 비극을 서사화하는 '애도로서의 치유' 지향 소설 연구 - 김숨의 『떠도는 땅』(2020)과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2021)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2022 .06
율곡을 理氣二元의 관념론자라고 규정하는 북한 연구자들의 견해 비판적 고찰
동양철학연구
2023 .02
이간의 이기동실‧심성일치론과 임성주의 비판
율곡학연구
2022 .12
거대한 분절인가, 거대한 연결인가? ― 신유물론의 정치적 존재론
인문학연구
2024 .02
Memory and Loss in Friel’s “Self-Portrait and Dancing at Lughnasa
영미문학페미니즘
2020 .01
마리 리의 『작별인사』에 나타난 인종 간 갈등과 다문화주의
동서비교문학저널
2016 .06
『아향기정(餓鄕紀程)』과 중국의 근대
중국어문학논집
2023 .06
인류세, 신유물론, 스피노자
코기토
2023 .06
1920년대 후반 식민지 조선의 맑스주의 수용 양상과 의미 : 『조선지광』 ‘유물-유심논쟁’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6 .12
유물론적 창조 이론을 넘어서: 과학주의 유물론 vs. 철학적 유신론
신학과세계
202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