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어예비교사의 디지털기반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관련 요인 탐색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024 .06
성인학습자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인식 분석
언어사실과 관점
2024 .05
국어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디지털 담화’의 개념 및 내용 연구
한말연구
2022 .12
디지털 패션의 매체 미학적 관점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2017 .01
Pre-service English teachers’ digital literacy: Views, use, and types of digital technology
언어과학연구
2024 .12
유아 교사의 디지털 그림책 인식과 활용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의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22 .06
기독예비 유아교사 교육을 위한 제언
기독교교육 논총
2017 .01
미국에서의 디지털 역사학 발전 과정과 최근의 경향
역사학보
2018 .12
놀이 중심 영유아 기독교교육 구현을 위한 연구
신학논단
2021 .06
디지털 소통과 국어교육
한글
2017 .09
예비교사들의 초등영어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영어교육
2022 .12
1인 미디어 이해와 제작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자문화기술지
독서연구
2021 .08
AI 시대 예비교사 소양교육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 필요성 고찰 :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8
역량 중심 접근의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윤리연구
2021 .01
외국인 유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및 경험 분석 연구
이중언어학
2024 .09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초등영어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초등영어교육
2022 .03
디지털 노마드 시대, 디지털-온라인 환경에서의 새로운 영상 커뮤니케이션 - 디지털 영상의 존재론적 위치 정립을 위한 네 가지 재고(再考)
HOMO MIGRANS
2020 .05
디지털 장소의 삶과 죽음 -한국 MMORPG를 통해 살펴본 디지털 자본주의 시대의 장소와 장소상실
도시인문학연구
2021 .10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요인 탐색 : 놀이지원 역량, 긍정적 놀이신념, 구성주의적 학습환경운영의 상대적 영향력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5
유아 놀이와 연극의 관계성 분석과 지향점 탐색 -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
2021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