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아동정신분석의 역사와 필요성
Ⅲ. 클라인의 분석과 놀이기법
Ⅳ. 클라인과 안나 프로이트의 논쟁
Ⅴ. 결론을 대신하여: 발달적 관점에서 구조적 관점으로
인용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클라인과 라깡의 대화(4) : 분석기술과 해석
현대정신분석
2003 .12
클라인과 라깡의 대화(3) : 성(Sexuality)
현대정신분석
2002 .12
안전감 경험으로서의 신앙교육 연구 - 클라인(Melanie Klein)의 대상 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
신학연구
2003 .12
캐나다 시인 클라인과 영미 모더니즘
신영어영문학
2005 .11
Freud`s Critique of Religion Revisited : An Ethical Hermeneutics of Psychoanalysis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4 .05
사물과 죽음의 기억 : 클라인의 예술론
현대정신분석
2008 .12
멜라니 클라인의 대상관계이론 관점에서 본 놀이치료 임상사례 연구
목회와 상담
2015 .01
공리주의 비판담론으로서의 정신분석의 윤리 : 프로이트, 라깡, 클라인을 중심으로
현대정신분석
2014 .08
혁명기 러시아의 정신분석 운동 — 무의식과 사회적 실천 논쟁의 재검토 —
외국학연구
2013 .01
〈부산행〉과 〈서울역〉을 통해 본 좀비의 무의식적 의미 : 프로이트와 클라인 이론을 중심으로
현대정신분석
2018 .02
클라인의 초기 오이디푸스와 여성성 : 초적 여성성과 다른 향유
현대정신분석
2007 .08
아동의 심리ㆍ영성 교육의 가능성 모색 : 프랑수와즈 돌토의 정신분석적ㆍ영성적 성찰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정보
2010 .08
자끄 라깡의 임상정신분석 : 〈디킨대학〉 및 〈멜버른 라깡 서클〉에서의 연구경험을 중심으로
현대정신분석
2004 .12
정신분석에서 현존재분석으로
철학∙사상∙문화
2019 .01
클라인과 라깡의 대화(1) : 무의식의 개념화
현대정신분석
1999 .12
프랑클의 관점에서 바라본 프로이트의 무의식 메커니즘
신학과 목회
2014 .12
프로이트 종교 비판의 건설적 재건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1 .04
군진의학으로서의 정신분석과 반공주의로의 이행: 유석진과 백상창을 중심으로
동서비교문학저널
2019 .12
에로스와 심리치료: 사랑을 통한 치료로서의 정신분석
목회와 상담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