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머리말 : 도시공간의 민속
2. 혐오스런 화장에서 선호하는 화장으로
3. 장례식장의 등장과 객사의 정상화
4. 일생의례 대행 전문직종의 탄생
5. 전통 상장례 문화의 지속과 변화
6. 맺는말 : 도시공간의 장례, 전문가에게 위임되고 있는가?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장례문화콘텐츠 개발 가능성과 한계 : 실버산업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07 .06
장례문화에 대한 고찰
신학지남
1999 .03
장례식장의 의례 민속과 장례 서비스
실천민속학연구
2008 .08
현대 한국 장례의 변화와 그 사회적 의미
종교연구
2003 .09
도시 장례식장에서 지속되는 상례의 문화적 전통
실천민속학연구
2007 .02
현대 한국의 장례의식에 나타난 죽음관
종교연구
2006 .06
일생의례의 축제성 : 장례의 경우
비교민속학
2009 .08
현대 한국사회 전통 상례의 현황과 과제
국학연구
2010 .12
한국교회와 장례문화
신학지남
1999 .03
사진과 회고로 보는 1900년대 전반기 북간도 한인의 장례문화
민속학연구
2018 .06
바람의 장례 외 3편
시조시학
2014 .02
죽음, 그 이후 -기독교 장례문화의 이론적 근거 제공을 위한 논의-
신학지남
1999 .03
근대이후 상장례정책 변화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역사민속학
2002 .06
원불교 장례문화의 방향성 고찰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9
장례산업의 부흥을 통해 본 ‘죽음의 질’ 관리
문화과학
2012 .03
장례문화의 발상전환을 위한 제언
신학지남
1999 .03
의례와 사회변화 : 장례식장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2004 .06
朝鮮 世祖代 懿敬世子 喪葬禮 구성과 특징
역사민속학
2014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