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북간도 생활문화의 변화
3. 사진과 회고록으로 보는 북간도의 장례문화
4. 북간도 장례문화의 변화-전통 유교식 의례와 기독교식 의례의 습합
5. 맺는 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항일독립운동의 기지 북간도 명동촌 개척자들의 일생의례
비교민속학
2019 .04
장례지도사의 사회적 위치: 전북지역 장례식장 근무자를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2021 .01
원불교 장례문화의 방향성 고찰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9
장례의례를 통해 본 한국인의 죽음이해: 바람직한 애도와 위로의 실천을 위해
대학과 선교
2022 .09
한국 상장례의 변화와 친환경적 장묘산업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3
순종 사망과 장례과정 - 1926년 4월부터 6·10만세운동까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4 .08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의 鄭百朋 誌石 연구
문물연구
2021 .11
러시아인과 투르크계 민족들의 전통장례 비교 연구
러시아학
2020 .01
安泰國의 순국과 장의 : 1920년대 초 上海 한인 장례문화의 일단
역사민속학
2015 .07
근대 동아시아 해역 해외·식민지 일본인 사회와 일본불교의 장제(葬祭) : -근대 일본 제국의 식민지 형성과정과 일본불교의 사회적 역할-
일어일문학
2023 .11
出喪 前夜 喪家에서 행해지는 葬禮놀이
문물연구
2017 .01
카자흐인과 야쿠트인 전통 장례 비교 연구
슬라브硏究
2021 .12
원불교 상·장례문화 연구 - 장법(葬法)을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9
검은색 죽음 상징이 현대 한국 장례에 미친 영향
실천민속학연구
2024 .08
에우리피데스의 『탄원하는 여인들』과 아테네 민주정: 아드라스토스와 페리클레스의 장례연설 비교를 중심으로
인간·환경·미래
2020 .04
장례 세일
자음과모음
2023 .09
전통적인 카자흐민족의 죽음이해에 대한 선교적 접근 : 장례문화와 그 관습들을 중심으로
Muslim-Christian Encounter
2020 .03
만주와 중국 관내 초기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의 역사와 특징 :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2024 .09
[공영장례] 삶을 존엄하게 마무리할 권리 :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
월간 옥이네
2025 .02
독일의 장례문화사 - 죽음에 대한 의식과 장례문화를 중심으로 -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