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상훈 (University of Seoul) 남진 (University of Seoul)
저널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國土計劃 第50卷 第2號
발행연도
2015.2
수록면
173 - 195 (23page)
DOI
10.17208/jkpa.2015.02.50.2.17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pects and influential factors of development density change in new railway station area of Seoul for realizing density management considering land use change with subway expansion. For analyzing the aspects of development density change in two times, a 100x100m cell unit is set by lattice division of railway station area. Also, a multiple regression model is utilized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development density change before and after subway expans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density of new railway station area is increased between 2002 and 2014, and the subway expansion affects development density increase of railway station area. Second, the influential factors and aspects of development density change are different depend on the completion of subway expansion and characteristic of railway station area.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al development density management should be proposed with subway expansion to respond the land use change of new railway station area, and the differential density management strategies for each railway station area should be proposed considering the aspects of development density change and characteristic of railway station area.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서울시 도시철도 확충에 따른 역세권 개발밀도 변화
Ⅳ. 신규역세권의 개발밀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인용문헌 References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539-001256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