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남영 (청주대) 이지영 (청주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1卷 第6號
발행연도
2015.6
수록면
111 - 119 (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pace organization of children"s favorite place in the children"s library by interpreting the children"s library as a kind of children"s play space. Children"s favorite place in the children"s Library has a high user density. In addition, it is an easy place to takes place reading and the play by book or play itself. Research methode is to analyze the space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has high user’s density and lead to play by investigating users’ number, user’s density, user’s behaviour at the library of the miracle in Suncheon, Jeongeup, Jinhae, Gimhae, Seogwipo, Jeju designed by Guyon Chung. Highly used place in the children"s library is the reading room. In particular, space with the highest user’s density was classified as shelf space, unusual space, enclosed space and high space. Unusual space, enclosed space and high space have higher user’s density than the shelf space more than twice and lead to much more play behavior. These space were interpreted as children"s favorite space and which causes a play at the same tim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연구의 범위
3. 어린이도서관에서의 이용행태
4. 이용자 밀도
5. 이용자 행위
6. 결론
Reference

참고문헌 (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540-001692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