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배수경 (홍익대학교) 공순구 (홍익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발행연도
2015.10
수록면
104 - 109 (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Museums were initially a place for preservation of documents or precious artifacts, and the second generation concept of museums evolved into exhibition places for the general public, and in modern times, museums have transformed into places of cultural exchange for engaging communication with museum visitors. Korean Christianity fulfilled a crucial role in the modernization of Korea, and by sending missionaries to places all over the globe, Korean Christianity is spreading the religious and cultural values of Korea. While the role that Christian museums serve by collecting, examining, researching and displaying Christianity related artifacts is significant, the reality is that due to a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useums and due to other difficult circumstances, compared to their significance there is a lack in the diversity and professionalism regarding museum exhibition contents and production. This research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Christian museums, and through advanced case studies both in Korea and abroa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creating new exhibition spaces that engage the audience of museums and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rough production elements that are relevant to the times and exhibition type.

목차

Abstract
1. 서론
2. 기독교 박물관의 이론적 고찰
3. 기독교 박물관의 전시유형 및 매체 사례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619-002013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