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뒤르케임 문화사회학의 지평과 과제 : 한국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06 .10
에밀 뒤르케임의 민주주의론 : 개인주의, 소통, 그리고 사회적 삶
사회이론
2008 .12
뒤르케임과 지성인
사회이론
2008 .12
일탈사회학과 뒤르케임의 유산
사회이론
2008 .12
교양에서 시민으로-뒤르케임 교육론의 함의
사회이론
2008 .12
르쁠레와 에밀 뒤르케임
한국사회학
1990 .02
뒤르케임 일병 구하기 : 파슨스,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그리고 롤스
사회와이론
2009 .05
뒤르케임과 미완의 기획 : 경제사회학과 연대의 공화국
사회이론
2017 .11
뒤르케임의 사회인식론과 사이버공간의 이해
사회이론
2008 .12
뒤르케임의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에 대한 담론이론적 해석 : 신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을 넘어
한국사회학
2004 .04
맑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와 자연주의 사회과학의 가능성
한국사회학
2015 .02
종교사회학에서 본 개인주의와 공동체 형성의 문제 : 헤겔과 뒤르케임의 종교론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2006 .06
마르크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와 자연주의 사회과학의 가능성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4 .01
뒤르케임과 민주주의 : 직업집단론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2008 .12
Toward Globalization of Korean Sociology
한국사회학
2008 .12
사회이론, 왜 문화적 전환을 이루어야 하는가?
사회이론
2005 .06
뒤르케임 경구의 재해석 : “사회적 사실을 사물처럼 취급하라”
사회이론
2008 .12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 :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가능성
한국사회학
2015 .10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 스트롱 프로그램과 실제 연구
문화와 사회
2007 .04
한국사회 자살현상과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 : 숙명론적 자살(fatalistic suicide)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201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