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에밀 뒤르케임의 민주주의론 : 개인주의, 소통, 그리고 사회적 삶
사회이론
2008 .12
교양에서 시민으로-뒤르케임 교육론의 함의
사회이론
2008 .12
르쁠레와 에밀 뒤르케임
한국사회학
1990 .02
뒤르케임 일병 구하기 : 파슨스,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그리고 롤스
사회와이론
2009 .05
일탈사회학과 뒤르케임의 유산
사회이론
2008 .12
공동체의 도덕적 기초에 대한 사회 이론적 고찰 : 헤겔의 "인륜성"과 뒤르케임의 "도덕성" 비교
사회이론
2003 .12
뒤르케임과 지성인
사회이론
2008 .12
뒤르케임의 사회인식론과 사이버공간의 이해
사회이론
2008 .12
E. Durkheim의 宗敎論
社會科學
1983 .12
맑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와 자연주의 사회과학의 가능성
한국사회학
2015 .02
뒤르케임 탄생 150주년에 다시 읽는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 21세기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뒤르케임 독해가 필요한 10가지 이유
사회이론
2008 .12
뒤르케임과 미완의 기획 : 경제사회학과 연대의 공화국
사회이론
2017 .11
‘사회적인 것’의 탄생과 뒤르카임(E. Durkheim)의 ‘신’ 자유주의
한국정치학회보
2002 .12
뒤르케임 경구의 재해석 : “사회적 사실을 사물처럼 취급하라”
사회이론
2008 .12
종교사회학에서 본 개인주의와 공동체 형성의 문제 : 헤겔과 뒤르케임의 종교론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2006 .06
과학의 유기적 연대는 어떻게 가능한가 : 과학과 도덕의 재통합
한국사회학
2016 .08
사회적 삶의 원리로서의 민주주의 : 민주주의의 현대적 재해석
사회이론
2010 .06
정보사회 민주주의의 이론적 재검토 : 직접민주제 구현 vs. 대의민주제 보완
미국헌법연구
2010 .12
‘사회적인 것’의 부침(浮沈)과 민주주의의 동요(動搖)
아세아연구
201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