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E. Durkheim의 宗敎論
社會科學
1983 .12
맑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와 자연주의 사회과학의 가능성
한국사회학
2015 .02
에밀 뒤르케임의 민주주의론 : 개인주의, 소통, 그리고 사회적 삶
사회이론
2008 .12
뒤르케임의 사회인식론과 사이버공간의 이해
사회이론
2008 .12
뒤르케임 일병 구하기 : 파슨스,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그리고 롤스
사회와이론
2009 .05
교양에서 시민으로-뒤르케임 교육론의 함의
사회이론
2008 .12
르쁠레와 에밀 뒤르케임
한국사회학
1990 .02
일탈사회학과 뒤르케임의 유산
사회이론
2008 .12
한국사회 자살현상과 『자살론』의 실재론적 해석 : 숙명론적 자살(fatalistic suicide)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2012 .12
뒤르케임과 지성인
사회이론
2008 .12
Weber로 돌아가라(5) : Durkheim의 社會的 事實論의 批判
한국사회학
1982 .12
종교사회학에서 본 개인주의와 공동체 형성의 문제 : 헤겔과 뒤르케임의 종교론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2006 .06
뒤르케임과 민주주의 : 직업집단론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2008 .12
뒤르케임 탄생 150주년에 다시 읽는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 21세기 한국사회에서 여전히 뒤르케임 독해가 필요한 10가지 이유
사회이론
2008 .12
뒤르케임과 미완의 기획 : 경제사회학과 연대의 공화국
사회이론
2017 .11
에밀 뒤르켐과 여성 문제
한국사회학
1998 .06
뒤르케임의 사회과학철학 : 반환원주의적 통섭의 가능성
한국사회학
2015 .10
Emile Durkheim의 도덕론을 통해서 본 다문화시대 통일교육의 사회통합 역할 모색 : 민족주의와 세계시민주의 담론의 한계와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08
과학의 유기적 연대는 어떻게 가능한가 : 과학과 도덕의 재통합
한국사회학
2016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