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울릉도 · 독도에 대한 명칭변화
3. 울릉도 · 독도 『명칭전도론』 의 의도
4. 막말 · 메이지 시대 울릉도 · 독도의 명칭변화
5. 맺음말
참고문헌
要旨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본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 : 일본 에히메현 소재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 대상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문화연구
2018 .07
皇民化時期(1937-1945) 대만 지식인의 민족정체성과 전쟁인식 : 『吳新榮日記』를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2016 .09
방정환과 예성타오 동화 비교
중국문화연구
2016 .02
韓国社会におけるK-Popの意義 : J-Popとの比較分析を通じて
일본문화연구
2015 .10
〈小學歌〉의 『小學』 수용과 문학적 의미
어문학
2017 .03
1917년 러시아혁명과 일본 사회운동의 변환에 대한 일고찰
일본문화연구
2018 .01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전후 석도와 독도 등의 명칭 관련 한국의 인식
역사학보
2019 .06
漢字はどのように受容されたのか : 日本語とそのほかの中国周辺諸言語との対照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독도 관련 문제 연구를 위한 일제언
영토해양연구
2016 .06
고대 중세 근세시대의 한·일 양국의 독도인식 : 안용복 사건 이전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16 .05
「主観」を表す文末名詞文の日韓対照研究 ―小説と新聞の用例に基づいて―
일본문화학보
2020 .11
한말 울릉도 일본인 사회구조와 일본어민의 독도 인식
영토해양연구
2022 .06
독도 관련 고지도의 현황과 특징 분석-영남대 소장 고지도를 중심으로-
독도연구
2020 .12
자율이동을 나타내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양태표현 ―Talmy의 유형론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2022 .02
근대 울릉도 사회경제 구조의 변천과 독도 인식
日本思想
2020 .01
일제강점기 일본어 자료에 나타난 ‘울릉도의 屬島로서의 독도’ 인식
독도연구
2020 .01
동일본대지진 원자력발전소 사고관련 신문기사의 어휘 선정 및 구사에 관한 비교 · 대조 연구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6 .03
독도 영유권에 대한 역사・국제법 학제간 연구
독도연구
2019 .01
울릉도?독도 국가지질공원의 역사적 유래와 보존 활용방안
독도연구
2021 .06
対照研究に関する一考察 : 研究傾向と展望
일본어학연구
2016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