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I. 들어가며
II. 슬랩스틱 코미디와 애니메이션
III. 한국 슬랩스틱 애니메이션의 전략 변화
IV. 〈라바〉, 〈그라미의 서커스쇼〉의 스토리텔링 전략
V.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귀로 듣는 슬랩스틱 코미디 ?<라바 아일랜드>의 화면해설을 중심으로?
통역과 번역
2021 .12
일본애니메이션 제작 현장 탐방
인문콘텐츠
2015 .06
중국 B급 코미디의 흥행과 글로벌 콘텐츠로의 발전 가능성 ― 카이신마화(開心麻花)를 예로
중국어문학지
2023 .03
‘文化大革命’시기 중국 애니메이션 연구
중어중문학
2018 .03
손창섭 소설의 희극성 고찰?전후소설에 나타나는 부조리극과 그로테스크의 특성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2021 .09
애니메이션과 현실공간의 결합에 대한 연구― ‘현실반영 애니메이션’ 개념을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24 .02
카프 演劇大衆化論의 展開와 宋影 諷刺劇의 媒體美學
어문연구(語文硏究)
2018 .01
애니메이션 IP(지식재산권) 트렌드 창작과 가치전환에 관한 연구
문화와 예술연구
2023 .06
2000년대 전반 김상진 코미디 영화의 웃음 창출 전략
이화어문논집
2017 .08
关于汉诗的能动享有和读法考察 - 以中国唱诗班所制汉诗动画为中心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21 .11
전통문화를 통한 중국 애니메이션의 재도약
중국학논총
2024 .06
중국 애니메이션과 교육계의 이면 고찰 - 〈중국 애니메이션 교육: 소음 속의 침묵〉을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24 .11
어린이가 만드는 애니메이션
창비어린이
2018 .03
무언 단편 애니메이션 기반 이야기 만들기가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초등영어교육
2016 .01
중국 창의산업클러스터의 발전과 도시경쟁력 ― 상하이시 ‘M50(莫干山路)’과 ‘1933노장방(老场坊)’을 중심으로
중국학
2015 .01
그림책과 애니메이션의 상호매체성:마르샥과 쩨하노프스키의 『우편(Почта)』을 중심으로
유럽사회문화
2021 .01
러시아 애니메이션 산업의 콘텐츠로서 동슬라브 신화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21 .01
한중일『 서유기』 기반 애니메이션의 스토리텔링 연구 - 손오공 캐릭터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고대학
2017 .01
애니메이션 <빨강머리 앤>의 수용과 의미
동화와 번역
2022 .12
미국 스탠드업 코미디에 등장하는 주요 소재와 시각 분석 : 인종·성별·성소수자 소재와 정치적 올바름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2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