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양(羊)이야기로서의 『유토피아』
II. 사목주의 그리고 통치성
III. 유토피아의 도시들 그리고 공간의 통치
IV. 오이코노미아(oikonomia) 혹은 경제
V. 맺으며: 생명정치의 수수께끼
Works Cited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미셀 푸코의 권력모델의 변화와 비판의 의미: 전쟁에서 통치성으로
대동철학
2018 .12
빅데이터 시대의 통치성 : 푸코의 관점에서
현대유럽철학연구
2017 .07
Within or Beyond Governmentality? : Neoliberal Governmentality in Snowpiercer
외국학연구
2015 .01
푸코와 생명정치
시대와 철학
2022 .09
정신분석과 억압가설, 통치성의 이론적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 푸코, 프로이트, 클라인, 비온, 프랑크푸르트 학파, 후기 라캉 이론의 관점에서
현대정신분석
2020 .02
통치 받지 않을 자유 : 미셀 푸코의 마지막 5년
코기토
2022 .06
영어졸업인증제에 관한 미디어 담론의 역사성 분석 : 미셸 푸코의 통치성 이론을 중심으로
응용언어학
2018 .03
『유토피아』: 미래를 성찰하는 허구
동서인문
2017 .10
근현대 영미문학 속 유토피아 연구
현대영어영문학
2022 .08
폭력과 유토피아: 근대와 반근대의 문학적 이념
영어권문화연구
2022 .08
『유토피아에서 온 소식』 : 모리스의 유토피아관과 문학관
새한영어영문학
2017 .08
주권권력에서 생명권력으로 『성의 역사 1-앎의 의지』를 중심으로
코기토
2018 .06
버나드 쇼의 Major Barbara와 통치 테크놀로지
현대영미드라마
2015 .08
서양의 학술 개념과 ‘성찰적 통관’ 미셸 푸코의 신자유주의와 생명정치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4 .02
1970년대 소설의 ‘생체정치’와 ‘재생산된’ 신체 연구
어문학
2018 .06
김사량의 『태백산맥』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성격 고찰
현대소설연구
2023 .09
메타버스 시대의 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
신학과세계
2022 .12
Pastoral Care and Social Justice: In the Perspective of Balance of Power
생명과 말씀
2016 .08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시에 나타난 유토피아의 개념
한국 예이츠 저널
2021 .12
한국근대사 연구의 주요 분석개념에 대한 재고 - 근대성, 식민지성, 공공성 -
한국사연구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