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0권 제1호
발행연도
2015.1
수록면
95 - 104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노인인구 증가로 인해 고령화 사회 현시점에서 노인들은 어디서 살고 싶어 하는지 혹은 어디에서 살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노인들의 의식변화 및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거주환경 및 삶의 질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산업화로 가족구성형태의 변화로 부부세대, 독거세대형태가 많아졌다. 자녀들에게 의지하던 예전과는 달리 독립적인 생활 및 삶의 질을 중요시 여기는 노인들이 많아졌다.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과정에서 아파트는 도시주거로 자리 잡았으며, 고령화 사회로 전개됨에 따라 도시 노인들의 아파트 거주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변환경 및 주거공간의 정주성을 지닌 주거환경 요구결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이 현재의 거주지를 떠나지 않고 원한다면 한곳에서 살아갈 수 있는 해결방안을 찾고자하였고, 거주하는 노인들이 어떤 불편을 느끼고 살고 있는지, 또 무엇을 개선해주어야 할지도 알아야할 것 이다. 노인들이 지속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정주성을 위한 주거환경에 대한 요구조사를 선행연구를 통해 설문지의 문항들을 구축하기 위해 선행연구 키워드 정주성, 지속가능성, 거주 연속성으로 찾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소로 나누어 설문지 문항을 작성하여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소결)요구조사 분석결과 사회적 요소로는 지역에 있는 복지관활동 또는 건강 및 개인적 취미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앞으로도 사회활동을 희망하는 노인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경제적 요소에서는 대부분 현재 연금 및 자녀들의 용돈으로 생활하며 여유는 없지만 앞으로 경제활동을 희망하는 노인들도 있고 생활의 여유는 없지만 대부분 만족함 알 수 있었다. 환경적 요소분석결과 거주 년 수는 20년 이상~30년 미만인 거주자들이 많았으며 앞으로도 이주하지 않고 장기간 거주를 원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들의 선호도 조사결과 의료시설 및 문화생활의 접근성이 좋은 도시근교를 선호하였다. (결론) 위와 같이 노인의 정주성을 위한 주거환경 요구조사 분석결과 노화로 인한 신체적 변화에 주변환경의 불편함을 느껴도 심리적으로 익숙하고 친숙한 주변환경 및 거주공간을 고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현재 공급되는 아파트 및 주변환경이 젊은 세대만을 대상으로 계획되어져서는 안 되고, 향후 20년 또는 30년이 지나도 연령층 관계없이 불편함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주거환경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