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교육학적 관점에 따른 창의성의 개념 정의와 함께 무용교육 현장에서 이러한 창의성의 개념을 적절하게 적용하기위한 준거기준들을 제시하였다.
무용교육 분야에서 추구하여야 할 교육학적 관점에 따른 창의성의 개념은 인간이 공통으로 가지는 능력이며 이러한 능력은 교육을 통하여 개발 가능하다고 정의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들을 받아들임으로써 창의성에 대한 개념적 정의가 모호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창의성의 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언급되어지는 요인들을 살펴보아, 창의성의 개념을 혼란케 만드는 교육적 범위 외의 요인과 범주 내의 요인을 구분하였다. 교육범주 외의 요인으로는 유전적 요인인 지능(IQ)과 피지배적 요인인 시, 공간의 한계성이 이에 속하였다. 보다 명확한 교육학적 관점에 따른 창의성 개념의 정의를 위해서는 교육적 범주 외의 요인들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제한적으로 창의성의 개념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무용교육 분야에서 추구하여야 할 창의성의 개념은 개발 가능한 인간의 능력으로써 스스로 창의적인 사고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이끌어주며 결과적 산출보다는 사고과정에 초점을 이루는 과정의 개념으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교육범주에서 벗어나는 시, 공간적인 한계성의 오류를 제한할 수 있으며, 활발한 창의적 사고과정을 제공함으로써 지능이 높은 학습자들만이 창의적인 결과물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오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창의성은 일반영역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결과물의 개념이다. 그러므로 특정한 한 영역에 집중되어진 교육방법보다는 다양한 일반영역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활발한 지식의 교류가 일어나도록 하여야 한다. 무용에서 이루어지는 창의성 교육이 무용이라는 특수영역 안에 머물러 있기보다는 음악, 미술, 과학, 언어, 수학, 사회, 문화 등 다른 영역간의 활발한 교류는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결과물을 이끌어 낼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개인의 지식, 사고방식, 동기, 성향, 경험 등의 내적요인과 개인이 속해있는 사회, 지역, 문화, 환경 등의 외적인 요인들의 종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사고과정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시, 공간의 한계성을 가지는 요인들과 지능에 치우치는 창의성 개념의 오류를 제한할 수 있는 개념이다.
더욱이, 외부적 요인으로서 창의성의 개념은 교육학적 관점에 따른 개념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대부분의 학습은 교사와 교육환경이라는 전제하에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외부적인 요인들인 교사의 교수방법과 신의 또는 교육환경은 학습자의 내적동기, 성향, 사고방식, 경험, 지식 등 내적인 요소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적절하고 효과적인 외부적 요인의 사용은 내부적 요인의 강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교육적 한계를 가질 수 있는 내적인 요소를 교육을 통해 향상을 얻고자 하는 교육학적 관점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라 하겠다.
교육적 범주에서 벗어나는 창의성의 요인을 인식하고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창의성의 개념을 더욱 명확히 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창의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면서 창의성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제시가 없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앞으로 나아갈 교육목표와 교육방향의 설정, 교수방법의 발전,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의 발달을 위한 바탕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미래의 창의성 교육발전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is to foster creative person. Many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developing new curricula and methodologies in creative education. This educational tendency made teachers and scholars in dance education focu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education in dance.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of this recent century, the concern of creativity and creative education become an issue in education. This study on creative education and dance education is essential, in order to fill up the requirements of danc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ncept of creativity pursued in dance education, in order to suggest the concept of creativity applicable in dance education.
In result, the concept of creativity pursued in dance education means that all humans posses creativity, and the creativity can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This concept of creativity emphasizes the following issues; first, creativity is progress; second, creativity is an interaction with other educational subject; third, creativity is the approach to focus on external factors. In order to maximize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dance education, danc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should focus on cultivating creative thinking procedure and skills, and also knowledge-based teaching methodology should be emphasized. Moreover, cultivating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erson and motivation on creativity must be essentially concer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