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최병숙 (전북대학교) 박정아 (원광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년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제31권 제2호
발행연도
2019.11
수록면
311 - 314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lives of senior citizens in the Japanese community and the meaning and role of the elderly salon, which is the most closely connected service support space and social connection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ly emerging salons in the Japanese residential environment facing the post-aged society based on the cases presented in the Internet literature to find the meaning and role of salons applicable to Korea"s aged socie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Japanese salon 23 cases, the use of space was found to be in childcare (3 cases), caregiver"s rest (4 cases), multi-purpose (9 cases), hobby of baduk, mahjak, etc.(2 cases) and library and gallery (5 cases). Unlike existing community facilities, which have limited user conditions and locations, the saloon space, which can be used lightly by diverse audiences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serve as a role for the post-aged society to prevent and manage th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of the elderly and what happens in the residential space.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조사결과
III.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