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의의 및 논의의 필요성Ⅱ. 문화국가의 원리와 문화행정법Ⅲ. 입법의 필요성과 관점의 대립Ⅳ. 영미권의 입법례Ⅴ. 유럽 등 기타 나라의 입법례Ⅵ. 우리나라 법제에의 시사점 및 법제 개선방안Ⅶ. 결 론
대법원 2010. 4. 22. 선고 2008다38288 전원합의체 판결
[1] 헌법상의 기본권은 제1차적으로 개인의 자유로운 영역을 공권력의 침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어적 권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헌법의 기본적인 결단인 객관적인 가치질서를 구체화한 것으로서, 사법(私法)을 포함한 모든 법 영역에 그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사인간의 사적인 법률관계도 헌법상의 기본권 규정에 적합하게 규율되어야 한다. 다만 기본권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4. 8. 26. 선고 2003헌마457 전원재판부
가.흡연권은 사생활의 자유를 실질적 핵으로 하는 것이고 혐연권은 사생활의 자유뿐만 아니라 생명권에까지 연결되는 것이므로 혐연권이 흡연권보다 상위의 기본권이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10. 11. 선고 2010두18758 판결
[1]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공개법’이라 한다) 제9조 제1항 제5호에서 비공개대상정보로 규정하고 있는 `감사·감독·검사·시험·규제·입찰계약·기술개발·인사관리·의사결정과정 또는 내부검토과정에 있는 사항 등으로서 공개될 경우 업무의 공정한 수행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한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정보’란 정보공개법 제1조의 정보공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1. 9. 16. 선고 89헌마165 全員裁判部
가. 정기간행물의등록등에관한법률상(精氣刊行物의登錄등에관한法律上)의 정정보도청구권(訂正報道請求權)은 정기간행물(精氣刊行物)의 보도(報道)에 의하여 인격권(人格權) 등의 침해(侵害)를 받은 피해자(被害者)가 반론(反論)의 게재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權利), 즉 이른바 “반론권(反論權)”을 뜻하는 것으로서 헌법상 보장된 인격권, 사생활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2두12303 판결
구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2013. 8. 6. 법률 제119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정보공개법’이라 한다) 제9조 제1항 제7호에서 비공개대상정보로 정하고 있는 `법인 등의 경영·영업상 비밀’은 `타인에게 알려지지 아니함이 유리한 사업활동에 관한 일체의 정보’ 또는 `사업활동에 관한 일체의 비밀사항’을 의미하는 것이고, 공개 여부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5. 11. 24. 선고 2002헌바95,96,2003헌바9(병합) 전원재판부
가.(1)이 사건 법률조항은 노동조합의 조직유지·강화를 위하여 당해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3분의 2 이상을 대표하는 노동조합(이하 `지배적 노동조합’이라 한다)의 경우 단체협약을 매개로 한 조직강제[이른바 유니언 샵(Union Shop) 협정의 체결]를 용인하고 있다. 이 경우 근로자의 단결하지 아니할 자유와 노동조합의 적극적 단결권(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1. 11. 24. 선고 2009두19021 판결
[1]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공개법’이라 한다)의 입법 목적, 정보공개의 원칙, 비공개대상정보의 규정 형식과 취지 등을 고려하면, 법원 이외의 공공기관이 정보공개법 제9조 제1항 제4호에서 정한 `진행 중인 재판에 관련된 정보’에 해당한다는 사유로 정보공개를 거부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그 정보가 진행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7. 10. 25. 선고 2005헌바96 전원재판부
가. 채권자취소권제도는 채권자 보호라는 법의 정적 안정성과 관념적 권리인 채권의 실효성을 확보하려는 것으로서 그 목적의 정당성을 인정할 수 있고, 이 사건 법률조항에서는 채권자취소의 대상이 되는 법률행위를 사해행위로 한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채권자취소의 범위도 책임재산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로 제한된다. 또한 사해행위취소의 상대방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헌법상 문화국가원리의 실현과 문화재 보호 관련 법령의 법정책적 과제
한양법학
2023 .11
문화재의 의의와 범주
공법학연구
2020 .11
한국 정부 문화재 정책에 관한 고찰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2019 .01
문화국가원리에서 바라본 문화재 환수와 대여문화재의 한시적 압류면제
외법논집
2018 .01
헌법상 문화국가 원리의 의미와 바람직한 전개 방향
헌법학연구
2021 .12
국제법상 문화재 및 문화유산 보호에 대한 고찰
한국이슬람학회 논총
2022 .02
일본의 문화경제전략에 대한 연구: 문화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2020 .01
문화자치 - 그 의미와 조건
정책연구
2022 .06
문화재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역경제의 촉진과 관광문화산업의 활성화 측면에서-
법학연구
2022 .09
약탈 문화재에 관한 국제분쟁 연구: 한국 문화재 반환을 중심으로
홍익법학
2019 .01
문화재 보호와 문화재향유권의 법리
법학논총
2018 .02
문화매개(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문화정책과 문화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19 .08
문화 헌법의 관점에서 본 영국 문화재보호 법제
유럽헌법연구
2019 .01
약탈문화재의 압류면제에 관한 헌법적 검토
법과정책
2018 .01
문화복지의 헌법적 의의와 실천
중앙법학
2015 .06
통일과 문화국가원리의 실현
공법학연구
2018 .08
독일의 새로운 문화재보호법(KGSG)에 관한 고찰
국제사법연구
2022 .12
법체계적 관점에서의 문화재 관련 법규의 재검토
법학연구
2017 .06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문화도시의 문화관광 콘텐츠 요인 연구: 서귀포시를 중심으로
융합관광콘텐츠연구
2024 .02
문화향유 중심에서 사회혁신형으로:전라북도 사례로 본 문화자치역량 격차와 문화공동체 육성 방향
문화정책논총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