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은 지난 15년 동안 대중적으로, 실무적으로, 또 학술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아 온 주제이다. 그런데 아직 그 연구 내용과 결과가 종합적으로 정리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웹툰 연구를 분석하여 웹툰 분야의 핵심연구 및 세부연구영역 등의 연구 동향을 포착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의 세부 기법인 빈도분석과 연결 중심성 분석을 통해 웹툰 연구의 핵심 연구개념을 도출할 수 있다.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통해서는 웹툰의 하위연구 영역을 포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툰 관련 논문 271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이들 논문에서 총 726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그중 99개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의 세부 기법인 키워드 빈도분석, 연결 중심성 분석 및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하였다. 서사,스토리텔링, 비즈니스 모델, 만화, 매체전환의 키워드가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으며, 서사, 스토리텔링, 비즈니스 모델, 만화, 콘텐츠, 플랫폼, 매체전환, 브랜드 웹툰의 순으로 연결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서사, 스토리텔링, 비즈니스모델, 만화와 같은 키워드들이 출현빈도도 높고 연결 중심성도 높은 편이어서 웹툰 연구에서 주목하는 중점 개념임을 파악하였다. 웹툰 연구 분야의 세부 연구영역을 확인한 결과 7개의 세부 연구영역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룹 1] 웹툰의 상업적 활용, [그룹2] 웹툰 사용자 참여, [그룹3] 웹툰 연출, [그룹4] 웹툰과 인터넷문화, [그룹5] 웹툰 교육, [그룹6] 매체전환, [그룹7] 웹툰 저작권으로 그룹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웹툰 연구 동향 및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 해결해야 할 연구 과제와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webtoon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Webtoons have received a lot of public, practical and academic attention over the past 15 years. However, the research results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compiled yet. In response, 271 related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core research and detailed research areas in the webtoon field, and a total of 726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se papers an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99 keywords.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provides a summary of the overall research performance in network form,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detailed concepts used in a particular research field, as well as deriving the areas of study among the detailed concepts. In this study, a detailed technique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keywor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hesive group analysis by CONCOR. Key research concepts of webtoon research can be deriv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entrality degree analysis and can capture sub-research areas of webtoons based on the structural equivalence of the terminology index. The concept of core research in the field of webtoon research was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entrality degree analysi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Keywords for narrative, storytelling, business model, cartoon and media conversion showed high frequency, followed by narrative, storytelling, business model, cartoon, content, platform, media conversion and brand webtoon. Overall, keywords such as narratives, storytelling, business models, and cartoons appear more frequently and are more centrality degree so it was understood that they are the main concept of the webtoon research. After checking the detailed research areas of the webtoon research fiel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even detailed research areas. [Group 1] Commercial use of webtoons, [Group 2] participation of webtoon users, [Group 3] production of webtoons, [Group 4] webtoons and Internet culture, [Group 5] webtoons education, [Group 6] media OSMU, and [Group 7] webtoons copyrigh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suggestions on the trend of webtoon research and methodology, and suggested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that should be solved in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