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은난순 (가톨릭대학교) 최병숙 (전북대학교) 오수훈 (한국주거복지연구소)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년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제32권 제2호
발행연도
2020.11
수록면
259 - 262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sic types of housing management that the disabled at home can perform themselves or need of support housing management services, and to suggest the guidelines for the housing management services for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40 disabilitie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living conditions and housing management statu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demand for public space safety facilities, regular inspection services for facilities and equipments, and sanitation management services for public spaces was the highest. Regarding the housing management service within the household, the demand for consumable repair, replacement, and cleaning services was highest. 2) The housing management services guideline was divided into six parts. The user side and the operator side were included, and the housing management plan and scope of provision, the provider, cost burden, and related community resources were complexly(blendedly) included for each type of housing management servic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장애인 가구의 거주 주택유형별 주거관리 현황과 요구
Ⅴ. 장애인 가구의 요구를 기반으로 한 주거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안)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