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류경수 (대전광역시 도시계획상임기획단) 안윤상 (충북대학교) 정응호 (계명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32권 제6호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1 - 12 (12page)
DOI
10.6107/JKHA.2021.32.6.00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examine whether the purpose and purpose of designation of newly introduced quasi-residential areas are consistent in consideration of land use.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land use and characteristics of two Metropolitan City, it is necessary for Daegu to review the easing of development density and subdividing quasi-residential areas only when various uses and functions including housing are introduced. In the case of Daejeon,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spond to reflecting government policies such as supplying public rental housing or designating urban convergence special zones due to the easing of behavior restrictions and high development density. The common matters of the quasi-residential areas of the two cities are mostly used for residential purposes in the current state of land use, and the difference appears to be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pplication of the floor area ratio depending on the specific use. Accordingly, i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quasi-residential area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uses and functions such as the use of buildings through urban planning ordinances, and to manage them in additional subdivisions and types according to the type of land use and location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준주거지역 토지이용 특성 비교분석
IV. 준주거지역의 토지이용 및 특성에 대한 개선방향
V.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595-000034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