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들어가며
2. 왜 공가능성이 문제인가?
3. 관계와 법칙
4. 시공간적 질서
5. 공가능성의 비이행성
6.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라이프니츠가 바라본 창조- 공가능성 개념에 대한 물리적 해석 -
중세철학
2022 .12
라이프니츠가 바라본 성리학 : 동서양 철학의 일치 가능성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2016 .08
라이프니츠의 더 강한 결정론
철학적분석
2024 .06
Leibniz’s Criticism of Occasionalism as Spinozism
철학사상
2015 .02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론에 관한 T. S. 엘리엇의 계보학적 탐구와 영혼 불멸의 문제
T. S. 엘리엇연구
2023 .01
들뢰즈의 라이프니츠론에 대한 연구 - 『차이와 반복』과 『의미의 논리』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
2019 .05
라이프니츠, 삼각형, 삼변형 ―개념의 일치와 동일―
철학탐구
2022 .11
라이프니츠와 회의주의
헤겔연구
2016 .06
라이프니츠의 초기 철학에서 기계론과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철학탐구
2022 .11
근대 ‘지각’ 개념과 라이프니츠 저작에서 ‘Aperception’의 의미와 번역
가톨릭철학
2020 .01
홉스와 라이프니츠: 기호의 기능
가톨릭철학
2016 .01
라이프니츠 철학에서 기호와 인식
철학탐구
2016 .02
La philosophie optimiste: Leibniz contre Voltaire
프랑스문화연구
2017 .01
라이프니츠와 영혼의 불사성 문제
철학논집
2018 .01
라이프니츠의 정의에 관한 두 저작 : 1. ‘필연적 진리로서 정의’에 대한 고찰
철학탐구
2017 .11
도덕적 선택은 어떻게 가능한가?: 라이프니츠와 칸트의 선택의지 개념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2023 .06
공간의 본성에 대한 라이프니츠–클라크 논쟁과 홀 논변
철학연구
2017 .11
데카르트(mv) vs. 라이프니츠(mv²), 그 이면과 이후: 푸앵카레의 활력 논쟁 소고
철학연구
2020 .03
오해된 낙관주의: 볼테르의 캉디드 와 라이프니츠의 변신론 사이
문학과 종교
2024 .03
모순율과 회의주의 : 라이프니츠, 섹스투스 엠피리쿠스, 헤겔을 중심으로
철학
2018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