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광진 (세종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체육과학회지 제31권 제3호 (인문사회과학 편)
발행연도
2022.6
수록면
729 - 746 (18page)
DOI
10.35159/kjss.2022.6.31.3.72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pplied to the dance fiel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dvancing due to the global pandemic, and among them, augmented reality is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in terms of minimization of the gap with reality, accessibility, interactivity, and audience’s active appreciation than virtual reality. These characteristics have an advantage in applying AR to the dance field, which is also revealed in the cases of Philobolus Dance Theater, Gill Jobin’s Company, Yang Seong-Ok & Lia Kim.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the dance field expands the placeness of dance, allows the audience to actively appreciate dance by touching the smartphone screen to adjust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virtual dancers, and changes the form of dance to suit the mobility. In response to these changing aspects, there will be more room for searching for th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n the field of danc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증강현실의 개념 및 특성과 예술
Ⅲ. 무용에서의 증강현실 적용 사례
Ⅳ. 비교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692-001529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