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하애화 (단국대학교) 김우경 (단국대학교) 김선효 (공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51권 제9호
발행연도
2022.9
수록면
912 - 923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0~64세 폐경 후 여성(n=1,952명)의 주당 우유섭취량에 따른 영양소 섭취와 식품 섭취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를 바탕으로 폐경후 여성을 주당 우유 섭취량에 따라 우유를 섭취하지 않은 Q1군(n=699), Q2군(0컵< 주당 우유 섭취량 ≤1컵, n=488), Q3군(1컵< 주당 우유 섭취량 ≤3컵, n=345), Q4군(주당 우유 섭취량 >3컵, n=420)으로 나누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 가구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주당 우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001), 연도, 연령, 교육 수준, 거주 지역, 비만도에서는 주당 우유 섭취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우유를 섭취하지 않은 Q1군에 비해 우유 섭취 군인 Q2군~Q4군에서 에너지, 탄수화물, 지질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칼슘, 인,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우유를 섭취하지 않은 군과 우유를 섭취했지만 1컵 이하/주로 섭취한 Q2군보다 1~3컵/주인 Q3군과 3컵/주보다 많은 Q4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특히 주당 우유 섭취량이 높을수록 칼슘, 인,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증가하여 Q4군에서 이들 영양소 섭취량이 가장 높았다. 칼슘(0.60)과 리보플라빈(0.81)을 제외한 조사한 모든 영양소에서 INQ 점수가 1을 넘었으며 주당 우유 섭취량이 높아질수록 칼슘, 인, 리보플라빈의 INQ 점수가 높아졌고, 특히 Q4군에서 Q1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식품 섭취 다양성을 평가하는 총 식품 수는 우유를 섭취하지 않은 Q1군(42.0점)보다 우유 섭취 군인 Q2군(45.5점), Q3군(45.4점), Q4군(44.6점)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식품군 점수(dietary diversity score, DDS)는 Q1군 3.8점, Q2군 4.0점, Q3군 4.1점, Q4군 4.4점으로 우유를 섭취하지 않은 Q1군에 비해 우유를 섭취한 Q2군~Q4군이 높았으며(P<0.05), 우유를 섭취한 군 중에서는 Q4군이 가장 높았다(P<0.05). 일반 환경요인별로 주당 우유 섭취량에 따라 DDS는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수준, 거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5). 식품군별 섭취 패턴은 모든 군에서 식사 내 우유를 포함한 유제품과 과일군을 최소량 이상 섭취하지 않은 비율이 1~3순위를 차지하고 있어 우유 및 과일 섭취 부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KHEI 총점수는 전체(Q1~Q4)에서 100점 만점 중 68.3점으로 낮았으며, Q1군과 Q2군에 비하여 Q3군과 Q4군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주당 우유 섭취량에 따라 총 과일류 섭취, 생과일류 섭취, 김치 및 장아찌 제외 채소류 섭취, 고기, 생선, 달걀, 콩류 섭취, 우유 · 유제품 섭취, 탄수화물 에너지비, 지방 에너지비 점수는 Q1군에 비하여 Q4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반면에 포화지방산 에너지비, 나트륨 섭취, 당류 · 음료류 에너지비점수는 Q4군이 Q1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주당 우유 섭취량은 DDS(r=0.24166, P<0.001), KHEI(r=0.17482, P<0.001)와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폐경 후 여성의 우유 섭취는 권장수준인 하루 1컵(200 mL)에 비해 크게 미치지 못하여 매우 부족하였으며 우유 섭취 증가는 영양관리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단면연구이므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밝힐 수는 없으며 반정량 식품섭취빈도조사로 우유 섭취량을 구해 실제 섭취량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했으나, 국가 규모의 조사를 연도별로 3년간 통합해 우유 섭취량에 따른 영양소 섭취, 식품 섭취 다양성, 식생활 지침 등의 준수를 평가하는 KHEI를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얻은 결과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폐경 후 여성의 우유 섭취가 칼슘 등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의 섭취, 식품섭취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므로 폐경 후 여성의 우유 섭취는 영양상태 향상을 위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REFERENCES

참고문헌 (3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594-00012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