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우리는 모두 플루토피아의 시민이다 케이트 브라운(2021), 『플루토피아: 핵 재난의 지구사』, 푸른역사, 783쪽
인문논총
2022 .02
플루토늄의 한 살이를 감당하기 위한 일상적인 재난의 기록 : 『플루토피아-핵 재난의 지구사』 (케이트 브라운 지음, 우동현 옮김, 푸른역사, 2021)
역사비평
2022 .08
핵 재난에서 이익만 뽑아내고 비용은 전가하기 : 『플루토피아』| 케이트 브라운 | 우동현 옮김 | 푸른역사 | 2021
황해문화
2023 .09
냉전 초기 소련의 핵개발 특성과 핵전략
군사연구
2017 .01
[영상 읽기] 〈플루토〉 인간과 인공지능 로봇의 공존은 가능할까?
유레카
2023 .12
북핵, 냉전, 동아시아, 세계 : 냉전과 탈냉전, 아시아의 역사적 오늘을 살아가는 방법
황해문화
2017 .09
소련 경제의 자본주의 무역 체제로의 통합과 소련의 공적 부채 성격 변화
서양사론
2021 .12
종전/해방 직후(1945.8~1948.7) 남한 담론 공간과 `적색 제국주의 소련`상(相·像)
한국사학보
2016 .02
재난의 양상과 재난인문학의 필요 - 세월호 참사 치유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25 .03
1950~1970년대 미국의 전략변화에 따른 한국의 원자력 선택과 자립화
江原史學
2020 .01
냉전에 대한 러시아의 반응 : ‘평화’를 투쟁의 언어로 만들기
역사연구
2018 .06
소련의 국제보건기구(WHO) 탈퇴 배경 재고
인문논총
2024 .08
중국과 소련의 핵 기술 개발 협력 재고, 1945~1960
대동문화연구
2017 .01
무기대여법은 소비에트 연방의 승리에 얼마나 이바지했는가? -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미국의 대(對)소련 군수물자 원조를 둘러싼 쟁점과 역사서술의 동향 -
슬라브硏究
2023 .03
재난과 교차하는 서사 : 역사 기록 속 재난 읽기의 방법
인문연구
2020 .03
전후 북한에서의 소련계 숙청과 국적 문제(1954~1958)
동북아역사논총
2017 .06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핵안보 정책과 국제사회 핵안보 공약의 결정요인
담론201
2016 .01
중국의 핵무기 개발과 1960년대 핵 억제전략
군사연구
2019 .01
1950년대 중반 북한의 경제난과북소 관계의 균열
史叢(사총)
2021 .09
변화하는 미국 가정
인간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