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들어가며
핵폐기물 자연 투기의 서막
놀랄 만큼 닮았던 미국과 소련의 핵폐기물 처리 방식
핵폐기물 해양 처분의 선두주자 영국
인간을 폐기물로 취급하는 찌꺼기 자본주의
맺으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플루토늄의 한 살이를 감당하기 위한 일상적인 재난의 기록 : 『플루토피아-핵 재난의 지구사』 (케이트 브라운 지음, 우동현 옮김, 푸른역사, 2021)
역사비평
2022 .08
원자력 시대의 시민들: 미국과 소련의 플루토늄 도시, 그리고 냉전 역학의 교차대 - 케이트 브라운 지음, 우동현 옮김, 『플루토피아 - 핵 재난의 지구사』 (푸른역사, 2021)을 읽고 -
역사연구
2022 .09
우리는 모두 플루토피아의 시민이다 케이트 브라운(2021), 『플루토피아: 핵 재난의 지구사』, 푸른역사, 783쪽
인문논총
2022 .02
[영상 읽기] 〈플루토〉 인간과 인공지능 로봇의 공존은 가능할까?
유레카
2023 .12
중국의 핵무기 개발과 1960년대 핵 억제전략
군사연구
2019 .01
북한 핵·장거리탄도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른 군사적 대응 방안 연구
군사연구
2017 .01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핵안보 정책과 국제사회 핵안보 공약의 결정요인
담론201
2016 .01
인도 핵무기 개발의 네 가지 원동력
군사연구
2016 .01
열전의 종막과 냉전의 서막 : 휴전회담에 대한 최초의 역사학적 접근 : 김보영, 『전쟁과 휴전 : 휴전회담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한양대 출판부, 2016)
역사와현실
2016 .12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자력정책 변화 한일 비교
일본문화학보
2015 .02
Some Notes on Nuclear Stress in English
언어과학
2017 .01
사회기술적 조정과 원전 체제의 다양성: 원전 산업구조와 규제양식을 중심으로
서양사연구
2016 .01
학병의 사명과 ‘위안부’의 운명-김성종의 「여명의 눈동자」(1975~1981)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2024 .02
기후 위기의 대응방안으로써 원자력 발전(發電): 러시아와 프랑스의 원전산업 발전과 협력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2022 .05
A Model for Translators : An Exegesis of Genesis 32:22-32
성경원문연구
2017 .04
Added in Adaptation: The Empire Plays again in the BBC Sherlock Holmes “The Devil’s Foot”
영미연구
2022 .10
대서양 핵군(MLF) 핵공유프로그램과 서독
군사연구
2015 .01
원전 사고와 원전체제의 변화: TMI와 체르노빌 사고를 중심으로
서양사연구
2016 .01
핵에너지의 공포와 매혹: 한국인의 핵 경험과 기억의 정치
종교문화비평
2015 .01
Dealing with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s
군사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