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들어가기 전에
Ⅱ. 자이나교 서약(브라타)과 살레카나
Ⅲ. 임종의례로서 살레카나 브라타
Ⅳ. 살레카나의 사례 및 관련 문제
Ⅴ. 삶의 완성, 죽음의 완성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노인의 죽음과 임종에 대한 주관성
주관성 연구
2019 .01
노인요양시설의 임종 돌봄 서비스와 종교 프로그램 - 불교계 노인요양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
2020 .01
아버지의 임종
월간에세이
2025 .05
마감과 임종
수필미학
2024 .09
인도 종교의 음식 문화와 심신 수행의 기제 -자이나교의 단식(斷食) 수행 의례와 심신 정화-
철학∙사상∙문화
2017 .11
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에 관한 인식
주관성 연구
2019 .01
호스피스 프로그램으로서의 불교 임종행의 고찰
인간·환경·미래
2020 .10
한국 죽음문화의 변화와 그 의미 -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
종교문화연구
2018 .12
죽음의 징조 파악하기 -헤마찬드라의 『요가샤스트라』 5장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2 .12
초기불교 수기사상에 나타난 Well-dying의 의미고찰
불교문예연구
2016 .08
자이나교의 성적 금욕론(2) -브라흐마차리야 서약-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3
성경적 죽음을 준비시키는 설교방안 연구
복음과 실천신학
2024 .08
중세 후기 아르스 모리엔디(Ars moriendi, 죽음의 기술)와 루터의 개혁: 중세 아르스 모리엔디 문헌과 루터의 『죽음 준비의 설교』를 중심으로
한국교회사학회지
2023 .05
의례설행과 수행인식의 접점―수행의례 연구를 중심으로
불교문예연구
2019 .01
10-15세기 이슬람 세력에 대한 인도 종교의 인식
종교연구
2020 .12
글로벌 팬데믹 시대에 논하는 기독교 생사학 및 생사교육의 과제
조직신학연구
2021 .12
조선시대 생전예수재의 설행과 의미
불교학연구
2019 .01
Understanding the Fear of Death and Implications for Christian Education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2016 .10
목샤(Moksha: 해탈)에 이르기 위한 자이나교의 도덕률이 자이나 교인들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선교와 신학
2019 .06
자이나교의 성적 금욕론 (1):‘성 긍정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인도철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