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隐现句中“走”类动词与“移动事件概念框架”
중국언어연구
2018 .01
10-15세기 이슬람 세력에 대한 인도 종교의 인식
종교연구
2020 .12
임종의례로서 살레카나 브라타의 고찰
종교연구
2022 .12
목샤(Moksha: 해탈)에 이르기 위한 자이나교의 도덕률이 자이나 교인들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선교와 신학
2019 .06
자이나교의 일체지자론(一切智者論)에 대한 불교의 비판 연구
불교연구
2019 .01
자이나교의 성적 금욕론(2) -브라흐마차리야 서약-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3
내는 업과 받는 업의 관점에서 본 업의 심리적 치유
동서철학연구
2021 .01
Is the Jain Mantra for an Enlightened Soul Arhaṃ or Arhraṃ?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20 .12
니까야에 나타난 업설(業說) 고찰: 업설의 용례와 유형
종교교육학연구
2022 .12
의례설행과 수행인식의 접점―수행의례 연구를 중심으로
불교문예연구
2019 .01
조선시대 생전예수재의 설행과 의미
불교학연구
2019 .01
죽음의 징조 파악하기 -헤마찬드라의 『요가샤스트라』 5장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2 .12
자이나교 요가 명상의 현대적 발전__프레크샤(Prekṣā) 명상을 중심으로__
인도철학
2019 .01
수레쉬와라의『나이스까름야싯디(Naiṣkarmyasiddhi)』에 나타난 까르마 비판 논증
요가학연구
2016 .01
인도의 불교의례와 그 변용
불교문예연구
2019 .01
『고려사』 기록에 보이는 불교적인 대외교류의 공간적 범위와 성격
석당논총
2024 .03
고대인도 제식에서 물의 다양한 역할
인도철학
2019 .01
자이나교의 성적 금욕론 (1):‘성 긍정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인도철학
2020 .01
고대인도 전적에서 선정의 기원 문제
인도철학
2022 .12
조선총독부 제정 「의례준칙」의 보급과 시행실태
민속학연구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