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진숙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저널정보
인도철학회 인도철학 인도철학 제66호
발행연도
2022.12
수록면
177 - 210 (3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석가모니불이 외도와 중생을 교화시키기 위해서 일으켰던 신변(神變, pratihārya) 중에서 사위성(舍衛城, Śrāvastī) 신변에 관한 불전과 아잔타 후기석굴의 벽화를 비교 고찰한다. 사위성의 신변은 경전마다 그 내용이 조금씩 다르고 지역에 따라 불교미술에 표현된 도상도 약간씩 차이가 있다. 팔리 경전 계통에서는 망고나무 기적과 석가모니불 몸체 위아래에서 불과 물을 교대로 뿜어내는 쌍신변(雙神變)을, 유부 문헌 계통에서는 쌍신변과 석가모니불이 다양한 화불(化佛)을 화현시키는 기적을 주로 묘사하고 있다. 석가모니불이 다불화현을 일으키는 모습은 5세기 이후 굽타 시대, 사르나트에서 처음으로 나타나, 5세기 후반 아잔타 후기석굴의 불당전실 등에 벽화로 그려진다. 본고에서는 『디비야바다나』(Divyāvadāna) 제12장 「쉬라바스티 기적경」을 중심으로 사위성 신변에 관한 문헌 서술을 검토한다. 한편 아잔타 후기 불교석굴의 사위성 신변도 7점을 분석하여 인도 불교미술에서 묘사된 사위성의 신변을 상세히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위성 신변에 관한 불전의 서술과 석굴 벽화의 묘사를 비교 고찰한다. 본고는 아잔타 후기석굴의 사위성 신변도가 유부 계통의 문헌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불당의 본존을 초월적 존재로 부각시키기 위해 본존 앞의 불당전실에 사위성 신변도가 주로 나타나는 것에 주목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