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중희 (부경대학교) 김성자 (부경대학교)
저널정보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현 사회과학연구원) 동북아연구(구 통일문제연구) 동북아연구 제31권 제2호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57 - 79 (2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통계데이터 상으로는 밝힐 수 없는 중국인들의 문화소비의 현황과 특징을 도출하고자 중국 베이징시 주민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소비 지출구조가 변하였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기점으로 문화소비구조의 변화가 시작되었는데 특히 문화·오락서비스비에 대한 지출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면담대상자 중 문화·오락서비스비에 대한 지출비중이 낮게는 30%, 높게는 80%로 다양했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문화·오락서비스비에 대한 지출비중이 높았다. 둘째, 여행소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국내여행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최근 몇 년 사이 해외여행소비가 급증하였다. 중국인들에게 여행소비는 필수소비로 인식되고 있다. 셋째, 교육소비의 격차가 크다. 크게 학업중인 자녀를 둔 그룹과 자녀교육이 종료되었거나 미혼 및 기혼이나 자녀가 없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교육소비의 대부분이 자녀교육, 특히 사교육비로 지출이 되었다. 후자의 경우 자기계발을 위한 교육비로 지출비중이 0%에서 50%까지 다양했다. 넷째, 문화소비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행소비에 대한 소비의욕이 높았다. 향후 소득이 증가한다면 문화소비 중 가장 선호하는 것이 여행소비로 여행소비에 대한 소비욕구가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3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