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정원 (충남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大韓建築學會論文集 第39卷 第4號(通卷 第414號)
발행연도
2023.4
수록면
121 - 129 (9page)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this study, the space planning elem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main contents of each key element of the Green Smart Future School.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high school planning cases that required reconstruction, we looked at how the space planning elements required by the project are presented, and what are lacking or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architectural plan. The space planning elements of 10 items were analyzed based on planning cases and future planning directions were presented. Future school architecture as an educational facility requires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changes in the digital-based learning environment, beyond simply planning and providing the required physical space. In addit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is the time when the areas of planning, such as planning of external spaces, linking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symbiosis with the local community, are expanding and becoming more concrete.

목차

Abstract
1. 서론
2.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3. 고등학교 계획사례 분석
4. 핵심요소별 공간계획요소 분석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