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최재현 (연세대학교) 김석경 (연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4년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제36권 제1호
발행연도
2024.6
수록면
151 - 154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mmunity spaces in the residential complexes considering the generation coexistence a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spaces to promot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Four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es were selected for case studies, and ‘the third place’ theory has been reviewed and rearranged as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Rearranged six features of ‘the third place’ are openness, interactivity, playfulness, accessibility, comfort, and diversity, and four community spaces are analyzed based on the featu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ddition to the community space for a specific gener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for gathering different generations. 2) It is necessary to vitalize connection with local neighborhoods by providing community spaces created and operated voluntarily in residential complexes. 3) When planning an outdoor space, it is required to secure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vity by connecting the flow path from the entrance to the outdoor green space.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