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지혜순 (숙명여자대학교 인력개발정책학과) 이영민 (숙명여자대학교 행정학과)
저널정보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인문사회과학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3호
발행연도
2024.8
수록면
745 - 769 (25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저출산・고령화, 과학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으나, 인구 고령화에 따른 생산가능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들의 적극적인 노동시장 참여 및 일자리 지속을 위하여 고령 임금근로자들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을 분류하고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패널조사 25차년도(2022년) 개인용 자료를 활용하여 고령 임금근로자 2,663명을 표집하였다. Mplus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고 R3step을 활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잠재프로파일은 총 4개의 집단(인사・복지 불만족 집단, 직무만족 중 집단, 직무만족 상 집단, 근무여건 만족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개인적 요인에 해당되는 연령, 성별, 학력 변인이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여건 요인에 해당되는 종사상 지위, 근로시간 형태, 근로시간 규칙성, 사업체 위치 변인이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인식요인 중 현재 하는 일과 기술수준 적합도 변인이 일자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령 임금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근무경력과 적성을 고려한 인턴십 프로그램을 확대가 필요하다. 둘쨰, 기술변화에 따라 고령자들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업훈련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령자들의 일자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좋은 시간제 일자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넷째, 고령 근로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일자리를 지속하기 위한 인사평가, 경력개발제도 등이 기업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고민이 필요하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