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朝鮮後期 불교의 神衆信仰
Ⅲ. 18세기에 유행한 神衆幀畵의 유형과 도상
Ⅳ. 18세기 후반~19세기에 유행한 神衆幀畵의 유형과 도상
Ⅴ.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후기 벽암문도의 사상과 신중도 제작
동악미술사학
2016 .01
불교와 도교의 交涉과 攝受 - 조선후기 神衆圖의 신선 도상 수용을 중심으로 -
동악미술사학
2020 .01
道岬寺 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의 圖像 硏究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03 .12
조선전기 민간발원 불화의 일례 : 일본 曹源寺 소장 <釋迦說法圖>
불교미술사학
2012 .01
朝鮮前期 金線描阿彌陀三尊圖一例
미술사연구
2008 .12
조선왕조가 가꾼 기록유산의 꽃, 의궤(儀軌): 譯註己巳進表裏進饌儀軌 서울: 국립국악원, 2018.
국악원논문집
2018 .01
高麗末 朝鮮初 四天王圖像 硏究
미술사연구
2008 .12
1628年 七長寺 〈五佛會掛佛圖〉硏究
미술사논단
2006 .12
大興寺 法身中圍會三十七尊圖考 : 朝鮮時代 密敎系 佛畵의 硏究(1)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03 .09
조선 전기 불화의 서사적 표현, 佛敎說話圖
미술사논단
2005 .12
불화 속 여인들의 머리형태에 관한 고찰- 서사적 내용 속의 여인들을 중심으로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014 .01
中國四川省成都출토 梁代碑像側面의 神將像고찰
미술사연구
2008 .12
한국의 사찰벽화 : 시대별 장엄요소와 표현 영역
불교미술사학
2019 .01
조선전기 線描佛畫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1995 .06
高麗佛畵의 변죽 : 本地, 畵幅, 奉安에 대한 問題
미술사논단
2012 .06
조선후기 신중탱화의 양식과 기법
미술문화연구
2012 .12
朝鮮 後期의 呂洞賓에 대한 繪畵 표현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4 .06
朝鮮朝 七星佛畵의 硏究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1990 .06
18種 人物畵 描法의 槪念과 朝鮮後期 人物畵 描法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00 .09
해남 미황사의 근대기 불화
동악미술사학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