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Abstract
1. 서론
2. 도시 토지이용과 범죄발생
3. 분당신도시의 범죄 발생 특성 분석
4. 분당신도시의 토지이용별 범죄 발생 특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범죄의 공간적 분포와 도시의 장소별 발생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012 .01
도시의 지역적 특징과 범죄와의 관계를 통한 범죄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2008 .01
베이지안 확률 기반 범죄위험지역 예측 모델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017 .01
지속 가능한(Sustainable) 도시발전을 위한 방범환경설계(CPTED)의 전략과 향후 과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08 .01
토지용도별 범죄의 시·공간적 분포패턴 사례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9 .01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CPTED)의 제도화 방안(Ⅱ)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9 .12
지역특성과 범죄발생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998 .12
도시성장과 범죄 : 범죄율의 도시별 분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993 .12
공간 빅데이터와 범죄통계자료를 이용한 범죄취약지 추출
융합정보논문지
2018 .01
중소도시의 범죄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연구-안동시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003 .01
구미시의 범죄발생 특성분석 및 대책
한국경찰연구
2015 .01
한국적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제도적 고찰
한국경찰연구
2006 .01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구주민의 주거환경에 대한 인식이 범죄피해 및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2010 .01
범죄발생의 공간특성을 고려한 도시안전망 구축방안
국토정책 Brief
2014 .06
도시범죄에 대한 도시계획적 인식과 대응
치안정책연구
2010 .01
범죄예방정책의 바람직한 추진방향 - 관련 법률 제정과 제도개선을 중심으로 -
경찰학논총
2017 .01
공동주택의 방범진단평가가이드라인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009 .01
서울의 도시블록 내 주거시설과 상점의 공간적 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유럽도시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7 .01
판교 시민들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CPTED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
2011 .01
대전광역시 범죄발생의 특성과 지역공동체내 범죄예방시스템 구축에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