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추상(抽象)과 추상예술(抽象艺术)
Ⅲ. 추상주의(抽象主义)와 추상파(抽象派)
Ⅳ. 추상미(抽象美)와 형식미(形式美)
Ⅴ. 중국 전통에서의 추상
Ⅵ.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00년 전후 중국 동시대 추상미술의 발전 배경 연구
현대미술사연구
2023 .12
중국 동시대 추상미술의 해외 진출 연구
동양예술
2024 .02
세 가지 변증법 - 한국 추상미술의 역사와 역사주의: 1960년대-1980년대의 추상미술 담론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연구
2022 .12
중국현대미술 전개과정에서 추상미술이 가지는 의미
기초조형학연구
2023 .08
한국 추상회화의 수용과 정착
기초조형학연구
2020 .02
抽象絵画の現在-欧米 · 日本 · 現在、そして女性の抽象
미술사논단
2019 .12
디지털 추상 이미지의 유형과 가치에 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7 .04
출구, 1980년대 이후 대만의 신추상미술
미술사논단
2020 .06
1960년대 한국 기하학적 추상미술의 지형도 연구: 국제성과 특수성의 교차를 중심으로
조형교육
2023 .06
추상애니메이션의 태동과 기호학적 의미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2017 .09
To Exit, Post 1980s Neo-Abstract Art in Taiwan
미술사논단
2020 .06
애니메이션에서 추상성의 개념과 조건의 재고찰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20 .02
광주화단의 모더니즘 추상미술 전개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7 .02
딩이(丁乙)의 시점(視點)에 의해 변화하는 ‘十’자 추상회화에 관한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2 .07
1980~90년대 중국 개념미술의 수용 및 전개 - 아이웨이웨이(艾未未)와 쉬빙(徐冰)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2 .12
한국에서의 피카소(Pablo Picasso) 인식 변화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3 .07
숭고(崇高)의 미를 기반으로 한 추상미술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2022 .05
[Special 2.3] John Opera_추상에 물들다
월간사진
2019 .03
이승조의 ‘실재와 비실재’의 추상회화 연구
조형교육
2016 .12
지역미술계 형성과 연구사
인물미술사학
202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