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표지]
[연구요약]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절차
[제2장 주정부의 도시개발기준]
제1절 TOD의 정의
제2절 대중교통수단(Transit Modes)
제3절 토지이용과 교통시설
[제3장 시정부의 대중교통중심 도시개발기준]
제1절 TOD의 정의
제2절 대중교통중심 도시개발기준
[제4장 경기도의 대중교통중심 도시개발기준]
제1절 경기도의 기준 설정
제2절 시군별 세부기준 설정
[제5장 결론]
제1절 연구요약
제2절 정책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한 구조방정식을 통한TOD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22 .11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TOD) policy on the land use composition change around light-rail transit (LRT) stations
도시행정학보
2018 .06
고속철도역세권에 있어 TOD개발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광주송정KTX역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015 .12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 패턴 및 영향요인 분석 연구
국토연구
2015 .12
코로나19 이후 대중교통을 바꾸어야 한다
이슈&진단
2021 .09
지금까지의 대중교통은 잊으시오!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5 .0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nsity and Diversity Indicators Reflecting Network Distance in Interpreta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국토연구
2021 .06
대도시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적용방향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17 .12
5Ds RTOD 계획요소와 지하철 승하차 인원의 관계분석: 서울시의 고용 접근성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2019 .12
대중교통의 접근성과 신뢰도 측정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16 .08
5D TOD 계획요소와 지하철 승 · 하차 관계분석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06
대중교통을 공공교통으로 전환하자!
이슈&진단
2018 .12
淸州, 승용차 의존도시에서 대중교통 친화도시로의 전환
충북 FOCUS
2021 .05
스마트카드 자료를 활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 형평성 분석 : 취약계층 유형별 이동성을 중심으로
지역연구
2017 .09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의 지역 형평성 평가
정책리포트
2021 .11
자율주행 기반의 대중교통 체계,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가?
국토
2020 .04
The WTO Transit Regime for Landlocked Countries and its Impacts on Members’ Regional Transit Agreements: The Case of Afghanistan’s Transit Trade with Pakistan:European Yearbook of International Econom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22 .12
지역 대중교통 인프라의 공공성 개선 : 충청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
2018 .03
용도지역 상향(up-zoning)이 용적률과 그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내 1997년에 형성된 역세권의 20년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21 .06
대중교통 이용 예측도 인공지능(AI) 기술이 필요한 시대
이슈&진단
2021 .12
0